-
블라인드에 올라온 코드 팩토링 관련 좋은 글.
이 문제는 비난할 것이 아니라, 도와줘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특정 방법론, 원칙에 얽매이는 분들은 본래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우리가 워드로 소설을 쓴다고 가정해봅시다. 일단 간단한 플롯이 나왔으면 글을 써야 합니다. 중간에 오타가 나거나, 주인공 이름을 촌스럽게 지었거나, 해당 페이지 편집 디자인이 이쁘지 않아도 일단 내용을 먼저 채워넣어야죠. 내용이 영 별로라고 판단되면, 그때가서 몇 번이고 다시 갈아엎는 과정을 거쳐 내용을 가다듬어야 합니다. 그리고나서, 나중에 오타, 촌스러운 주인공 이름, 우스꽝스러운 페이지 디자인을 고치면 됩니다. 그러나, 방법론, 원칙에 얽매이는 분들은 이런 시행 착오의 시간이 무의미한 시간 낭비이며, 실수를 저지르는 과정이라고 보기 때문에 반드시 피해야 ..
일상/계획
2020. 12. 3.
-
[컴퓨터구조] ch.2-2 산술 동작
간단한 산술동작 add a, b, c # a = b + c sub a, b, c # a = b - c 간단한 산술동작으로부터 규칙성을 가지도록 하면, 구현함에 있어 굉장히 간단해진다. 조금 복잡한 산술동작 f = (g+h) - (i+j); 각각의 부분 결과를 저장할 수 있어야한다. 즉 add t0, g, h # temp t0 = g + h add t1, i, j # temp t1 = i + j sub f, t0, t1 # f = t0 - t1 t0 와 t1은 각각의 계산을 잠깐 저장할 임시저장소이다. 즉. 임시 결과를 저장하는 요소가 필요한데, 그것을 레지스터(register) 라고 한다. 그리고 컴파일러가 각각의 값들을 여러 레지스터 중 어디로 매핑할것인지 작업하게된다. 연산에 필요한 값을 메모리로부터..
ETC/CS
2020. 10. 24.
-
[JAVA] 순차탐색(Sequential Search), 이진탐색(Binary Search)
순차탐색 ( Sequential Search ) 이진탐색 ( Binary Search ) int[] arr = {1, 19, 9, 7, 3, 11, 5, 109, 292, 30}; 위와 같은 배열이 있을때, 숫자 7이 몇번째에 있는지 알아내고자 한다. 순차탐색(Sequential Search) 순차탐색은 말 그대로 차례대로 비교해가면서 찾는것이다. arr[0]부터 하나하나 7인지 아닌지 확인하다 arr[3] 이 7이므로 탐색을 종료하게되는것이다. 순차탐색의 복잡도 만약 arr 배열에서 1을 탐색한다면 1번만에 찾아낼것이다. 19는 2번만에, 9는 3번만에 찾아낼 것이다. 30을 탐색한다면 10번만에 찾아낼것이다. 그렇다면, 탐색하는데 걸리는 평균 연산 횟수는 이 될것이다. 따라서 arr 배열의 크기가 n..
ETC/자료구조 이론
2020. 9. 8.
💲 추천 글